봄 제철나물 쑥의 종류와 쑥떡·쑥국과 같은 쑥을 사용한 음식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아요!

일상적 건강 이야기

봄 제철나물 쑥의 종류와 쑥떡·쑥국과 같은 쑥을 사용한 음식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아요!

알약이 2023. 4. 23. 12:02
반응형
곰과 호랑이가 쑥과 마늘을 먹고 인간이 되어

웅녀가 단군을 낳았다는 이야기는 한 번쯤은

들어본 설화예요 쑥은 이와 같이 음식으로

섭취하기도 하지만 쑥을 이용한 약도

정말 많이 이용되는 만큼 실제로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쑥을 이용한 요리를 통해

건강을 챙기려고 시도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쑥에 대해 알아보고

정확히 어떤 효능을 내는지 알아볼게요

 

 쑥은 어떤 식물인가요?

 

 

쑥은 덜 자란 상태에서 수확해 먹는다!

 

쑥은 대표적인 봄나물로 다년초이기 때문에 가을,

겨울에도 죽지 않으며 버티다가 봄, 여름 동안에

꽃을 피워요 그러나 실제로 쑥은 아직 덜 자란

상태에서 가장 먹기 좋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수확하여 여러 음식을 만들어 먹게 되죠 쑥국,

쑥떡, 쑥전뿐만이 아니라 쑥의 향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모든 음식들에 넣어서 먹어요

 

쑥은 학명에서 속명이 Artemisia인데요 그래서

쑥이라는 이름이 붙은 모든 쑥은 Artemisia가

붙고 뒤에 종명이 따라와요 예를 들어서 약으로

많이 사용되는 사철쑥은 Artemisia capillaris가

공식적인 학명이에요 참고로 사철쑥은 다른

이름으로 인진호라고 불리기도 해요

 

 어떤 쑥이 약으로 활용되나요?

 

 

사철쑥 잎을 이용한 스티렌정

 

개똥쑥(A. annua)은 중국의 투유유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것으로 유명한 쑥인데요 개똥쑥에서 추출한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은 항말라리아제로서

현재 말라리아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물질이라

할 수 있어요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가 전 세계에서

1위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 생약의 발견이 얼마나

뛰어난 성과인지 알 수 있어요

 

또, 사철쑥(A. capillaris)에서 추출한 성분은 우리나라

처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요 사철쑥의 추출물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NF-κB를 하향조정하여

NF-κB에 의해 유도된 과도한 염증 반응으로 인한

위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요 또, 이미 위염을 겪고

있는 분이라도 염증을 조절하여 여러 증상들을

완화시켜 줄 수 있겠죠

 

 

 

 

 쑥을 이용한 음식도 위와 같은 효능을 낼 수 있나요?

 

 

 

물론 쑥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약을 만드는 만큼

음식을 먹어도 동일한 효과를 볼 수도 있는데요

그러나 약은 일정한 양 이상을 복용하지 않으면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할 수 있고 따라서 쑥을 통해

약을 복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내려면 상당히

많은 양의 쑥을 먹어야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어떤 쑥을 먹고 어떤 부위를 먹는지도

상당히 중요한데요 예를 들어 아무 쑥이나 캐서

사철쑥에서 볼 수 있는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하면

안된다는 거예요 또, 어떤 부위를 먹는지도 꽤

중요한데 사철쑥의 잎에서 추출한 성분이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잎 이외의 부위만 식용할 경우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겠죠

 

따라서 음식의 섭취를 통해서 약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고 말씀드릴게요 그러나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보지 못하더라도 건강에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맞으므로 효과를 볼 수

있는 종류의 쑥을 캐어서 적당량 복용한다면

분명히 이점을 누릴 수 있을 거예요

 

 사철쑥을 음식으로 먹을 때, 어떤 이점을 누릴 수 있을까요?

 

 

사철쑥을 이용한 인진호탕의 효과를 보라!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사철쑥의 경우 과도한

염증을 가라앉히는 것을 통해 우리 몸에 도움을

주게 되죠 즉, 평소에 위염을 자주 앓던 분이라면

사철쑥을 이용해 만든 음식이 속을 편안하게

만들어준다는 것을 느끼실 거예요 그러나 사철쑥의

효과는 위에만 국한되지 않아요

 

예를 들어, 인진호탕이라는 한약은 사철쑥을 주요

한약재로 이용하였는데요 이 한약이 사용되는

곳을 보면 간염, 담낭염 등에 사용되며 이를 통해

간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인 황달을

개선시켜줄 수 있다고 해요 이외에 피부 염증인

두드러기 등도 개선시켜줄 수 있다고 하니 이를

참고한다면 사철쑥을 이용하여 많은 건강상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마무리

오늘은 쑥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쑥은 식용과

약초 모두 활용이 가능한 팔방미인이고 현재도

연구가 계속 진행이 되고 있기 때문에 또 다른

쑥을 이용한 약이 개발될 수 있어요 그러나 이미

위에서 말했듯이 음식을 통한 섭취는 그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약초의 효과를 기대하고 음식을

먹는 것은 좋은 선택은 아니에요 만약 약과 같은

효과를 보고 싶다면 매우 많은 양을 먹어볼 수

있지만 그럴 경우 다른 성분도 같이 복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부작용의 우려가 있어요 따라서

약과 음식은 구분해서 생각하시길 바랄게요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한 번 부탁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