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 중에서 4명 중 1명은 고혈압인데요 이를 통해 현대인의 생활습관이 얼마나 만성질환의 발병에 기여하는지를 알 수 있어요 지속적으로 염증을 유발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하면서 운동을 하지 않아 점점 혈관이 탄력을 잃고 혈압에 의해 손상을 입으며 악순환이 반복되죠 그래서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혈압약 복용을 시작하는데 많은 분들이 "혈압약은 한 번 먹으면 못 끊는 것이 아니냐"는 말을 해요 오늘은 그에 대해 이야기를 간단히 해볼게요 |
고혈압 발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고혈압은 매우 다양한 인자가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질환이에요 혈압은 심박출량과
말초저항을 곱한 값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체내 수분이 너무 과해 심박출량이 높아진
경우나 혈관이 탄성을 잃어 압력에 대해
늘어나지 못하고 강하게 저항하는 경우
측정되는 압력도 높아지며 혈관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죠 따라서 심박출량,
말초저항을 높이는 모든 것이 고혈압의
원인이라 할 수 있어요
체내 수분량이 많아지는 원인으로 소금의
과한 섭취가 대표적인데요 그래서 고혈압
환자에게 소금의 섭취량을 줄이라고 계속
강조하는 거예요 또 음주, 흡연은 혈관을
직접 손상시켜 탄력을 줄이고 이와 비슷하게
과한 지방과 당분의 섭취는 몸에 염증을
유발해 혈관을 손상시키죠 그리고 나이가
들면 피부가 탄력을 잃는 것과 비슷하게
혈관도 탄력을 잃으므로 나이도 중요한
고혈압의 원인이에요
그러나 특정 질병에 의해 이차적으로 혈압
상승이 일어날 수 있고요 대표적으로 신장,
부신의 종양이나 각종 질환이 원인이에요
이때는 혈압 자체를 낮추려는 노력보다는
원인 질환의 치료에 더 신경을 써야겠죠
혈압약의 종류와 효과는 무엇인가요?
혈압약은 가장 자주 쓰이는 약이 ARB라고
불리는 약제로 성분명으로는 끝에 -sartan
(잘탄)이 붙어있어요 이 약은 안지오텐신이라
불리는 물질의 작용을 막는데요 안지오텐신은
강력한 혈관수축 물질이자 체내 수분량을
늘리는 역할도 하죠 그러니 ARB의 복용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두 가지 변수를 모두
다스릴 수 있는 거예요
CCB는 ARB만큼 자주 쓰이는 약인데요 우리
혈관은 수축을 할 때 칼슘이 필요하죠 그리고
칼슘은 L형 칼슘채널을 통해 유입되어 혈관을
수축시키는데 이를 통해 정맥이 아닌 동맥의
혈관을 넓혀주죠 혈관이 늘어난다는 말은 곧
말초 저항의 감소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서
혈압이 감소되어요
위의 두 가지로 혈압 조절이 안된다면 이뇨제
사용으로 불필요한 나트륨과 수분을 내보내기도
하고요 만약 고혈압에 협심증이 동반된 경우
베타차단제를 이용해 심장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켜 협심증을 가라앉히며 동시에 고혈압
치료를 하기도 해요 임신부에는 혈압약 사용에
제한이 있어 Methyldopa 등을 사용하기도 하죠
위의 설명한 약제들은 고혈압 환자의 동반질환,
금기사항(천식, 통풍)을 고려해 의사가 판단하여
처방할 거예요
때로는 고혈압약을 먹음으로써 혈압이 얼마나
떨어지냐를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약이 그 사람에게 어떻게 작용할지는 전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낮은 강도로 시작해서
혈압이 적절한 수준으로 떨어질 때까지 약물
조절을 할 거예요
혈압약의 복용시간 및 평생 복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혈압은 복용 후 몇 시간 내에 효과를 나타내요
그러나 실제로 목표치까지 혈압을 낮추려면
수 주가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죠 이렇게 지속적으로 약물
복용을 할 경우 혈압약은 혈액에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고 있을 텐데요 과거에는
아침에 혈압이 높아지며 심장마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아침 복용을 권장했으나 현대
혈압약은 몸에 오래 남아있기 때문에 언제
복용하냐는 전혀 중요하지 않아요 그것보다
일정한 시간을 정해 꾸준히 먹는 것이 훨씬
중요하죠 일반적으로 혈압약은 편의를 위해
1일 1회 복용하며 위에 말한 것처럼 먹는
시간을 정해서 일정한 시간에 복용하면
돼요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가 혈압약을 한 번
복용하게 되면 평생 복용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질문인데요 일부분 맞아요 현재의 혈압약은
혈압을 낮추는 것에 집중을 하고 있고 따라서
근본적으로 고혈압을 치료하려면 본인의
생활습관 개선 의지가 매우 중요해요 이를
하지 못할 경우 고혈압약을 계속 먹으면서
혈압 관리에 도움을 받으실 거지만 이것이
혈압약 복용을 절대 중단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에요 끊고 싶으면 끊으면 되지만 혈압은
다시 높게 돌아갈 뿐이에요
혈압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혈압 관리에 중요한 것은 모두 알고 있듯이
운동과 식단관리인데요 사람들은 운동과
식단관리의 의미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해
이를 철저히 관리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우선, 운동을 하게 되면 신체 전반에 늘어난
혈류량을 감당하기 위해 혈관을 확장시키게
되는데요 이때, 혈관을 확장시키는 물질이
NO(산화질소)로 흔히들 먹는 아르기닌도
NO 생성을 목적으로 먹죠 운동을 하게 되면
NO가 생성되어 운동 중 혈류가 원활해질
뿐만 아니라 NO의 이용률도 증가하기에
장기적으로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관리할
수 있어요 또, 식단 중 소금의 섭취를 줄여
불필요한 수분 보유를 줄이며 건강한 기름을
먹어 혈관의 탄력성을 회복시킬 수 있죠
이런 생활 습관은 미세한 혈류도 개선시켜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생기는 각종
질환들의 예방에도 큰 도움을 주어요
마무리
오늘은 혈압약의 복용에 대해 이야기했어요
혈압관리를 당장 하지 않는다고 해서 증상이
바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관리에
소홀한 사람들이 많은데요 혈압관리를 하지
않는 것은 몸이 서서히 죽어가는 것을 방치한
것과 다름이 없다는 것을 알고 계세요 우선,
혈압약을 복용하여 도움을 받되 장기적으로
본인의 생활습관을 개선시키면 혈압약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혈압약은 혈압을 효과적으로 조절해 주지만
생활습관 개선이 없다면 다른 질환들이 또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고요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한 번 부탁해요♡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 만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동맥류란 무엇일까요? 각종 동맥류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수술법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4.05.26 |
---|---|
심근경색으로 이어지는 심장 협심증, 원인과 증상 및 치료약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4.05.04 |
B형 간염 약은 평생 먹어야 할까요? B형 간염의 증상과 전염성 및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4.04.20 |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원인·증상과 치료약 '씬지로이드정', 용량·용법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4.03.30 |
갑작스럽게 심장 박동이 변한 경우, 부정맥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을 알아보아요! (1) | 2024.01.07 |